전통적인 품질관리 기법(통계적 품질관리, SPC, 6시그마)에서 더욱 발전된 혁신적인 기법이 연구되지 않는 현실에서 품질관리 업무와 품질관리기술사들의 미래를 어떨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직 품질관리기술사로서의 현재 업무와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알아봅니다.
품질관리 기술사의 미래, 전망 - 검사 분야
품질관리기술사 또는 품질관리 업무에 미래가 있는가? 라는 질문을 종종 받습니다. 일반적인 제조기업에서의 검사 기술 발전으로 인한 무인 검사, 자동 검사, 전수 검사가 확대되면서 품질관리라는 업무 자체에 대한 불확실한 미래를 걱정하는 의견이라고 생각됩니다. 기존에는 샘플링 검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통계적 품질관리 기법이 발전하였고, 또한 사람에 의한 검사가 이루어지기에 측정에 대한 정확도가 중요하게 되었고 측정시스템분석(MSA, Gage R&R 등)기법이 발전하였습니다.
샘플링 검사 - 자동 검사로 전환
사람에 의한 검사 - 자동 측정 설비로 전환
이러한 검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품질관리 업무에 대한 중요도가 떨어지고, 품질관리 분야가 전반적으로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라고 생각됩니다만, 전수 자동검사 체계가 구축되더라도 계측 설비에 대한 품질관리는 더욱 더 중요해지게 됩니다. 자동 검사인만큼 측정 설비의 정확도와 정밀도 관리가 더욱 중요해 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정에서 사용되는 검사 기기는 Calibration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기 때문에 측정기기 관리 영역은 축소될 수 없는 영역입니다.
품질관리 기술사의 미래, 전망 - 품질 경양 분야
품질 관리 분야 중에서 품질 경양 분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차적으로 품질 경양 분야라고 하면 품질 경영 시스템 운영을 떠올리게 됩니다. ISO 9001, IATF 16949등 품질 경영 시스템은 특별한 버전업 없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별히 위축되거나 축소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히려 기타 경영 시스템(ISO 14001, ISO 45001, ISO 22301등)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어 각 경영 시스템을 통합하는 업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품질 경영이라고 한다면 제품 개발에서부터 공정 개발까지의 업무 영역에서 품질 검토가 빠질 수 없는 분야입니다. 확실한 것은 기술은 발전하면 새로운 기술에 대한 Risk가 존재합니다. 이에 대한 품질을 사전에 검증하고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기술이 아무리 발전을 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라고 하더라고 필수적인 업무입니다. 기술은 일시적이지만, 품질은 영속적인 업무 영역인 특징이 잘 나타나는 분야하고 할 수 있습니다. 개발된 기술 및 공정에 대한 공정 능력 분석, 공정 안정성 평가(관리도 등)은 아무리 새로운 기술, 새로운 공정이라도 초기 불안정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100년이 지난 이론임에도 아직까지 각광받고 공정을 평가하는 가장 대표적인 기법입니다.
품질관리 기술사의 미래는?
품질 관리 분야에서 가장 큰 변화라고 한다면, 빅데이터의 등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조업 공정이 발달하고 스마트 팩토리, MES 등 시스템의 확대로 인하여 공정의 데이터는 기하급수적으로 생성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품질관리 분야의 숙제이자 미래라고 생각합니다. 각 데이터간의 인과관계라든지 연관성 등을 파악하는 기술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품질관리 분야에 종사하는 담당자라면 데이터 분석 업무가 필수적인 역량이 될 것 같습니다.(현재도 그렇고요) 그렇기 때문에 현재 품질관리 업무에 종사하거나 품질관리 분야에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이시라면 데이터 분석에 대한 학습을 권장드립니다. 기본적인 회귀분석이나 상관분석, 분산 분석은 물론이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 딥러닝 분야가 미래이기 때문입니다.
품질관리 분야에 미래가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있으시다면, 품질관리는 다른 분야와 다르게 제조업이 있는한 필수 불가결한 영역이라는 점을 말씀드리고, 4차 산업 혁명 시대/빅데이터 시대에 더욱 각광받을 것이라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