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 블로그에서 미니탭을 사용하여 정규분포를 따르는 경우의 공정능력 분석을 실시하고, 엑셀로 계산 결과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공정 능력 분석 절차에서 알아 보았듯이, 공정 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공정이 안정상태에 있어야 하며, 정규성 검증이 선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에 순서에 따라 분석을 실시한다.
1) 관리상태 조사 : 관리도를 통하여 분석
2) 정규성 검증(Anderson-Darling 검정)
3) 공정 능력 분석 실시
이전 블로그에서는 3) 공정 능력 분석만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1,2,3번 항목을 한꺼번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니탭에서 통계분석 > 품질도구 > Capability Sixpack > 정규분포 를 선택합니다.
1) 단일 열 : 데이터가 입력된 열을 선택한다.
2) 부분군 크기 : 부분군의 크기를 입력한다. 부분군이 없는 경우 "1"입력해야 한다.
3) 규격 하한, 규격 상한 : 규격 하한(LSL), 규격 상한(USL)을 입력한다.
4) 추정치 : 표준 편차 추정 방법을 선택한다. 일반적인 옵션으로 "Rbar"를 선택한다.
1,2) 공정의 관리 상태 여부 : R관리도와 X(BAR)관리도를 통하여 공정이 관리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예제의 경우, 관리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3) 정규 분포 확률도 : P-VALUE가 0.117로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을 알 수 있다.(P-VALUE가 유의 수준-일반적으로 0.05-보다 크므로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할 수 있다.)
4,5) 공정 능력 분석 결과 : 군내 공정능력(단기 공정 능력, Cpk)과 전체 공정능력(장기 공정 능력, Ppk) 및 목표가 있는 경우의 공정 능력 지수 Cpm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