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에서 부분군이 5인 경우에서 공정 능력 분석을 실시하여봤습니다. 해당 자료는 하기 블로그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공정 능력 절차 중에서, 공정 능력 지수(Cp, 단기 공정 능력 지수)는 표준편차 추정치로 R(bar)와 관리도 계수표의 d2 상수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습니다. 그런데, 부분군이 1인 경우의 데이터로부터 단기 공정 능력은 산출이 불가능할까요?
합리적인 부분군을 형성할 수 없어서 개별데이터의 형태로 얻어졌다고 하면, 이동 범위(Moving range)를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이 있다.
우선, 미니탭을 통하여 부분군이 "1"인 경우의 공정 능력 분석을 먼저 해보고, 엑셀로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입니다.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통계분석 > 품질도구 > Capabiltity Sixpack > 정규분포를 선택합니다.
② 규격 하한(LSL), 규격 상한(USL)을 입력합니다.
③ 추정치를 클립하여 표준편차로 어떤 항목을 사용할 것인지 선택해야 합니다.
① 부분군 크기가 "1"경우, 일반적인 범위(R)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평균 이동 범위(MR, Moving Range)를 사용합니다.
② 이동 범위의 크기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순서를 기준으로 X1, X2, X3, ....이라면, 2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하는 이동 범위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X1과 X2간의 범위 값, X2와 X3간의 범위 값 ...... 을 선택한다는 의미 입니다.
① 해당 데이터의 정규성 검정 결과 일반적인 유의 수준(0.05)보다 높은 P-값(0.067)을 보이고 있으므로,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할 수 있습니다.
② 공정의 관리 상태를 보면, MR관리도에서 관리 한계선을 이탈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해당 공정의 이상 여부를 확인해 봐야 하지만, 이번 학습의 목표는 공정의 관리 상태가 아닌, 부분군 크기에 따른 공정 능력 평가가 주요 주제이므로, 공정 능력 평가가 중점을 두도록 하겠습니다.
③ 이동 범위(MR)을 사용하여 계산된 Cp 3.13, Cpk 2.42를 볼 수 있습니다. 엑셀로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