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시그마 활동에서 많이 사용되는 4Bock Diagram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6시그마 활동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만큼 실무 통계적 품질관리 업무에도 많이 활용되는 기법입니다. 공정능력과 연관이 있으며 공정을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여 개선해야하는지 설정할 때 도움이 되는 기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관리력과 4Block Diagram
관리력(Z Shift)
관리력은 6시그마 활동시 사용되는 미니탭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방법론이 되었습니다.
1) Z.shift(관리) : 공정 이동시의 장기간과 단기간 역략간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시그마(Sigma) 이동이라고도 불리며, 그 공정이 얼마나 잘 통제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Z.shift = Z.st - Z.lt $$
2) Z.st(기술) : 단기 역량(Short Term Capability)
단기 Sigma에 의해 규정된 시간내의 한 시점에서 완벽한 통제하에 있는 한 프로세스의 잠재적 수행능력
$$ Z.st = CP \times 3, Z.st = Z.lt + 1.5 $$
3) Z.lt(기술) : 장기 수행 실적(Long Term Performance)
장기 Sigma에 의해 정의된 시간에 대한 한 프로세스의 실제 수행 능력
$$ Z.lt = PP \times 3 $$
4 Block Diagram
4Block Diagram은 6시그마 DMAIC의 측정 단계에 있어서 공정의 평가 척도를 나타내는 분석 방법론이다. 4Block Diagram은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확인하는데 유효하며 X축은 공정의 산포는 나타내는 기술 수준이 되고, Y축은 공정의 중심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관리 수준이 된다.
이 두 수준을 감안해서 향후 프로젝트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실제 데이터 적용시 데이터의 수집 기간이 단기에 해당하느냐 장기에 해당하느냐에 따라 Z.st, Z.lt적용과 Z.shift에 대한 해석에 차이가 날 수 있다.
Z.st의 계산 : 단기 개념(공정의 중심이동이 없다고 가정하고 분포를 규격의 중심에 일치)에서 벗어난 비율(불량율 또는 부적합푸율)에 대해 Z.shift(Z.bench)값을 구하는 것이다.
Z.shift값과 Z.st를 통하여 공정의 기술력이 부족한 것인지, 기술력은 있으나 그 기술력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공정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