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관리기술사]합격 수기 - 실기

1차 필기를 5번째 시험만에 어렵게 합격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필기보다 훨씬 어려운 것이 실기였습니다. 무엇보다 어떻게 준비해야할지 감을 잡을 수가 없었습니다. 인터넷 블로그와 카페 등에 간단히 적어주신 기출 문제(구두 전달될 수 밖에 없으므로)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 준비를 시작하였습니다. 


품질관리기술사 면접(실기) 준비

실기는 어떻게 진행 되는지?

제가 시험을 볼 때는 화상으로 진행되었지만, 현재는 오프라인으로 면접을 봅니다. 면접관은 세 분이십니다. 그 중에서 가운데에 앉아 계시는 분이 좌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은 산업공학과 교수님들이 많이 맡고 계십니다. 그리고 좌/우에 계신 분들은 기술사 출신이신 분들도 계시고 컨설턴트/심사원 등 전문가라고 보시면 됩니다. 면접관 분들의 업무 범위가 넓다보니 시험 문제의 범위도 굉장히 광범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기 준비가 어렵습니다. 일반적인 통계적 품질관리 이론에서 부터, 실제 업무에 대한 문제까지 매우 광범위합니다. 그래서 면접 시, 제출하는 경력기술서가 중요하다고 얘기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어디까지는 그것도 ‘운’입니다. 면접관 중에 해당 경력기술서에 관련된 업무를 하시는 분이 있거나, 면접관이관심분야이거나 하는 경우라면 경력기술서 관련된 질문을 할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경력기술서 위주로 질문한다는 확률은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앞으로 품질관리기술사 실기에 준비에 도움이 되는 주제로 블로그 많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론 준비 - 기본서 정독

이론적인 분야(통계적 품질관리, 실험계획법, 측정시스템 분석)의 경우 저는 미니탭 교재 위주로 공부하였습니다. 미니탭 교재는 이론적인 부분과 실습을 연결해서 설명해 주기 때문에 폭넓게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특히 저는 실험계획법에 대한 실무 경험이 없어서 실험계획법은 미니탭 교재를 통해서 준비한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물론, 실전 면접에서 실험계획법 문제는 없었습니다. 통계적 품질관리 및 측정시스템 분석은 실전 문제에도 출제되어 미니탭 교재로 준비한 것이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그외 일반적은 품질관리론, 품질경영 분야는 필기 준비하면서 봤던 기본서를 3회 정도 정독하였습니다. 박영택 교수님의 품질경영론, 이상복 교수님의 품질이야기를 정도하면서 인터넷 검색으로 수집한  기출 문제를 기반으로 스스로 문제도 만들고, 그에 대한 답변도 스스로 준비하면서 연습을 하였습니다. 이론적인 기반도 중요하지만, 답변하는 기술이 실전에서는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수집된 품질관리기술사 기출문제 리스트

제가 시험봤을 때의 문제와 더불어 인터넷에서 수집한 정보 그리고 주변 품질관리기술사 분들이 경험까지 포하하여 제가 수집한 기출문제 리스트 정보를 공유드립니다.

  • ISO 9001:2015년판 주요 개정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HLS를 적용한 IATF16949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APQP 도입 배경과 APQP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측정시스템 분석의 5가지 변동 유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품질경영 7원칙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QC 7도구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슈하트 관리도의 핵심이론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고객만족도 조사 원칙에 대해서 설명해 보세요.
  • 본인이 생각하는 품질은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 보통 품질은 품질부서외에 이를테면 설계나 영업팀 같은 부서에서는 품질에 대해서 잘 모르고,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것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본인이 품질부서장이라면 어떻게 조치할지 말해 보세요.
  • 회귀분석에서 적합성 검증은 어떻게 하나요?
  • 품질 개선을 실시하는데 있어, 본인의 실제 경험이 있으면 말씀해 주세요.
  • ISO 9001에서의 PDCA 사이클에 대해서 설명해 보세요.
  • 측정시스템 분석에서 검증하는 항목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 실험계획법에서 인자가 7개이면, 가장 먼저 어떤 조치를 해야하나요?
  • 실험계획법 실시 후, 인자가 유의하다고 판단하면 어떤 후속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 에러 프루프 실제 경험한 사례가 있다면 설명해 주세요.
  • 계측기의 선형성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관리하나요?
  • 측정시스템 분석 결과가 10%이하이면, 개선이 필요없나요?
  • 공정 능력 분석 순서에 대해서 설명해 보세요.
  • FMEA에서 심각도는 무엇을 보고 산출하나요? 심각도가 2개 이상 산출된다면 어떻게 선택하나요?
  • PL법과 리콜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세요.
  • ISO 9001에서 시정과 시정조치는 어떻게 다른가요?
  • 효과성과 효율성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신뢰성 공학에서 얘기하는 Bath Curve에 대해서 설명하고, 어떤 구간을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하는지요?
  • 중심극한정리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 이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상기와 같이 아주 아주 광범위한 질문이 나옵니다. 공부의 범위도 아주 광범위해야 합니다. 기본서 정독은 물론이고, 수시로 머릿속으로 시뮬레이션을 해보아야 합니다. 상기 기출문제에 제가 모든 답을 알 수는 없지만, 인터넷 검색 또는 교재에서 찾아보시고 그래도 답을 구할 수 없다면 연락주세요.